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TDF vs ETF, 뭐가 다를까?|비슷해 보이지만 완전히 다른 투자 전략

by maeilbusiness 2025. 5. 17.
반응형

 

TDF랑 ETF, 이름도 비슷하고 다 펀드라던데?

ETF와 함께 자주 언급되는 펀드 상품 중 하나가 TDF(Target Date Fund)입니다. 두 상품 모두 분산 투자가 가능하고, 초보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공통점이 있죠.

하지만 실제로 두 상품은 구조, 운용 방식, 투자자 개입 정도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오늘은 이 두 가지 상품을 비교해보며, 나에게 더 맞는 선택은 무엇인지 판단할 수 있도록 도와드릴게요.

 

1. TDF란 무엇인가요?

TDF는 ‘Target Date Fund’, 즉 목표 연도형 펀드입니다. 예: 2030TDF는 2030년에 은퇴하거나 큰돈이 필요한 사람을 위한 상품이에요.

이 펀드는 시간이 흐를수록 자산 배분 비중을 조정합니다. 초기에는 주식 비중이 많아 성장 중심으로, 목표 연도에 가까워질수록 채권 비중을 늘려 안정성을 확보하죠.

쉽게 말하면 자동으로 리스크를 줄여주는 똑똑한 펀드입니다.

 

2. ETF와의 차이점

항목 TDF ETF
운용 방식 간접 운용 (매니저 개입) 지수 추종 (패시브)
리밸런싱 자동 조정 투자자가 직접
운용 수수료 높음 (0.5~1.2%) 낮음 (0.1~0.3%)
거래 방식 펀드 계좌(신탁) 주식처럼 자유 거래

 

3. 누구에게 어떤 상품이 맞을까?

- TDF: 투자에 시간을 많이 쓰기 어렵고, 자산관리를 전문가에게 맡기고 싶은 분 - ETF: 직접 투자 판단을 내리고, 수수료를 줄이고 싶은 분

장기 자산을 위한 ‘자동 주행 투자’를 원한다면 TDF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학습 의지가 있고 투자 실습을 겸하고 싶다면 ETF가 더 적합합니다.

 

4. 오늘의 행동 미션

내 은퇴 시기나 목표 자금이 언제 필요한지를 적어보세요. 그 목표에 따라 ‘TDF냐 ETF냐’의 방향이 결정될 수 있습니다.

 

다음 이야기 예고

다음 글에서는 ETF를 언제 사고 언제 팔아야 하는가? 많이들 궁금해하시는 타이밍 전략을 초보자도 따라할 수 있게 알려드릴게요.

 

 

2025.05.15 - [분류 전체보기] - 나에게 맞는 ETF 고르는 방법|ETF가 너무 많아서 고를 수 없을 때 보는 기준

 

나에게 맞는 ETF 고르는 방법|ETF가 너무 많아서 고를 수 없을 때 보는 기준

--> ETF가 너무 많아서 고르기 어려우셨죠? 처음 ETF 투자를 하려고 하면, 정말 놀랍니다. KODEX, TIGER, KINDEX 등 이름도 낯설고, 무슨 산업인지, 어떤 회사를 담고 있는지도 알기 어렵죠.“그냥 좋은 거

grapeeconomic.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