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가 너무 많아서 고르기 어려우셨죠?
처음 ETF 투자를 하려고 하면, 정말 놀랍니다. KODEX
, TIGER
, KINDEX
등 이름도 낯설고, 무슨 산업인지, 어떤 회사를 담고 있는지도 알기 어렵죠.
“그냥 좋은 거 하나 추천해줘!” 하고 싶어지지만, ETF는 내가 고르는 기준을 알고 있어야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오늘은 투자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는 ETF 고르는 기준 3가지를 아주 쉽게 알려드릴게요.
기준 1. 내가 관심 있는 분야부터 찾아보기
처음에는 너무 어려운 분석보다 내가 평소에 관심 있는 산업부터 시작해보세요.
예를 들어 전기차가 요즘 뜬다 생각되면, 2차전지 ETF
를 찾아보는 겁니다. 스마트폰, 게임, AI, 반도체, 여행… 내가 평소 자주 쓰는 제품이나 뉴스에서 많이 본 산업은 ETF로도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요.
ETF 이름에 산업명이 들어가는 경우도 많아서 찾기도 쉬워요. 예: KODEX 2차전지산업, TIGER AI반도체, KINDEX 여행레저
기준 2. 지수형인지 테마형인지 구분해보기
ETF는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뉘어요.
- 지수형 ETF: 시장 전체를 따라가는 기본형. 예: KOSPI200, S&P500
- 테마형 ETF: 특정 산업이나 기술에 집중하는 유형. 예: 친환경에너지, 반도체, 메타버스 등
처음에는 지수형부터 시작하는 걸 추천합니다. 지수형은 시장이 오르면 같이 오르고, 내려도 천천히 내려서 위험이 적고 안정적이에요.
반대로 테마형은 수익이 클 수 있지만 변동이 크고 리스크가 큽니다. 초보자는 먼저 기본기를 익히고 도전하는 게 좋아요.
기준 3. 거래량과 규모가 큰 ETF 고르기
ETF도 너무 인기가 없는 건 피하는 게 좋아요. 순자산 규모
가 너무 작거나 하루 거래량
이 적은 ETF는 가격이 급격히 흔들리거나 팔기 어려운 경우도 있어요.
기준: 순자산이 500억 이상, 하루 거래량이 1만 이상이면 안정적입니다. 증권사 앱에서 ETF를 누르면 규모와 거래량이 바로 보이니 꼭 확인해보세요.
지금 할 수 있는 쉬운 연습
오늘은 아래 순서로 연습해보세요.
- 증권사 앱에서 ‘ETF’ 탭을 눌러 ETF 목록 보기
- 내가 좋아하는 산업(예: 여행, 반도체, 음식) 검색
- ETF 이름을 눌러 지수형/테마형, 규모, 거래량 확인
ETF 한두 개만 자세히 살펴봐도, “아, 이렇게 구성되어 있구나!” 하고 감이 옵니다. 매일 5분씩만 해도, 나중엔 ETF 설명서 안 보고도 고를 수 있게 돼요.
오늘의 행동 미션
지금 ETF를 하나 검색해서 아래 세 가지를 메모해보세요.
- 이 ETF는 어떤 산업에 투자하나요?
- 지수형인가요? 테마형인가요?
- 규모와 거래량은 어떤가요?
ETF 고르기는 지식보다 관심이 먼저입니다. 하루 5분씩 투자 감각을 키워보세요.
다음 이야기 예고
ETF를 골랐다면, 이제는 수수료와 세금도 알아야겠죠. 내가 투자해서 벌어도 수수료 때문에 손해보는 일은 없어야 하니까요.
👉 “ETF 수수료와 세금, 얼마나 내야 할까?|초보자를 위한 계산법”에서 이어집니다.
2025.05.13 - [분류 전체보기] - ETF란 무엇인가요? 초보자를 위한 쉽고 친절한 해설
ETF란 무엇인가요? 초보자를 위한 쉽고 친절한 해설
1. ETF, 많이 들어봤지만 정확히는 모른다? 요즘 경제 뉴스나 유튜브에서 자주 들리는 단어 중 하나가 바로 ‘ETF’입니다. 주식 투자에 관심이 생긴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거예요. 하지
grapeeconomic.tistory.com